서론
손발이 차가워서 고민이신 분 있는가? 특히 추운 겨울철에는 더욱 심해져 고통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럴 때 흔히 떠올리는 질환이 바로 수족냉증과 레이노 현상이다. 두 질환은 비슷한 듯 하지만 다른 점이 많다. 하여, 수족냉증과 레이노 현상에 대해서 헷갈리는 사람들을 위해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수족냉증
수족냉증은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이나 발에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끼는 병이다. 이는 혈액순환이 되지 않거나 비위의 기운이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빈혈이나 저혈압, 출산 후유증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수족냉증 환자는 손발이 시린 증상 외에도 무릎이 시리거나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부위에서 냉기를 느낄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한여름에도 손발이 얼음장처럼 차갑고, 손이나 발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수족냉증은 그 자체로는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다른 질병의 증상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겠다.
레이노 현상
레이노 현상은 추위나 스트레스에 의해 손가락이나 발가락, 코, 귀 등의 말초혈관이 과도하게 수축하여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손 저림증을 말하는데, 손가락이 추위에 민감해 피부색이 흰색이나 푸른색으로 변하고 손, 발 저림, 가려움증, 통증 등이 있으면 의심해 볼 수 있다. 1862년 프랑스 의사 모리스 레이노가 처음 보고한 질환으로, 유병률은 일반 인구의 약 10% 정도로 알려져 있다. 기저질환의 유무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특별한 원인이나 기저질환이 없이 발생하는 것을 ‘일차성’ 또는 ‘특발성’ 레이노 현상이라 하며, 기저질환이나 유발 원인이 있는 경우를 ‘이차성’ 레이노 현상이라고 부른다. 해당 현상을 유발하는 기저질환으로는 자가면역질환, 교원섬유질환, 동맥 폐쇄성 질환, 신경학적 질환 등이 있다. 특히, 레이노 현상을 보이는 환자들 중에서 전신경화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공통점
수족냉증과 레이노 현상은 모두 손발이 차가운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둘 다 추운 환경에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며, 혈액순환 장애와 관련이 깊다. 특히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며,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두 질환 모두 스트레스나 긴장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도 공통점이다.
차이점
수족냉증과 레이노 현상은 그 원인과 증상의 정도, 그리고 진행 양상에 차이가 있다. 수족냉증은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손발이 차가운 증상을 말하며, 특별한 색깔 변화는 없다. 그에 반해 레이노 현상은 추위나 스트레스에 의해 혈관이 과도하게 수축되어 손발의 색깔이 하얗게 변했다가 파랗게, 붉게 변하는 3단계의 색깔 변화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레이노 현상은 손발이 저리거나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즉, 수족냉증은 일반적인 손발의 차가움을 의미하는 반면, 레이노 현상은 혈관 수축으로 인한 특징적인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수족냉증은 손발이 찬 증상이고, 레이노 현상은 손발이 차가울 뿐만 아니라 색깔 변화와 통증까지 동반하는 질환이다.
결론
그렇다면 수족냉증과 레이노 현상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아무래도 따뜻하게 몸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겨울철에는 양말이나 장갑 등을 따뜻하게 착용하고, 집에서 따뜻한 물에 족욕을 하는 것도 추천한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서 몸의 면역력을 높이고 특히나 스트레스 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